CEO Agenda

서지연(SSMR) 원장 인사말

역사적으로 보면 18세기 산업혁명과 자유주의 경제, 1930년대 세계 대공황(Great Depression)과 케인즈의 거시경제, 그리고 1970년대 석유파동과 신자유주의 출현, 20세기 말과 2000년대 초반 자본시장 시스템 부흥기까지 기업의 주주 자본주의 초점은 큰 위협이 아니었습니다. 왜냐하면 자본 수익률이 핵심 가치였기 때문에 윤리와 도덕적 관행, 지구 생태 환경과 공동체 포용의 문제는 우선순위가 아니었습니다.

1990년대 엘킹톤은 자본수익(Profit)뿐만 아니라 지구(Planet)와 사람(People)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TBL(Triple Bottom Line)을 제안하였고, 세계 각국의 NGO, 정부, 기업, NPO, 활동가, 연구자들은 환경 재앙, 빈익빈 부익부, 반복적인 위기 대응 시나리오의 부재를 해결할 새로운 사회경제 시스템과 솔루션을 개발해 왔습니다. 그러던 중 2008년에는 또다시 글로벌 금융 위기로 대침체(Great Recession)를 겪었고, 2020년에는 코로나 감염병으로 대봉쇄(Great Lockdown)를 겪었습니다.

2015년 UN은 그간 전 세계의 노력을 담은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를 발표하였습니다. 이제 지속가능성을 지칭하는 용어가 ESG든 CSR이든 TBL이든 SDGs든 정부와 민간(기업) 그리고 비영리 조직 모두는 인류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동참해야 합니다. 서지연(SSMR)이 든든한 파트너가 되어 드리겠습니다 1.

최 중 석

Founder, Research Director

  • 최중석 원장은 20년 이상 대학 및 컨설팅 기업에서 전략경영과 HRD 분야의 연구와 교육, 컨설팅을 수행해 오고 있다. 지속가능경영 전략 프레임워크인 ‘SSMR-SDF’를 개발하고 조직의 지속가능경영 전략 및 ESG 체계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인사조직 전공 경영학 박사이며 ‘지속가능경영전략(Strategy for Sustainability Management, 2024, 두남)’과 ‘사회적경제학(Social Economics, 2023, 좋은땅)’의 저자이기도 하다. 현재 동국대학교 경영학과에서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영과 CEO 트렌드

  • 2025년 ESG 10대 트렌드(10) 공급망 관리의 확대

    오늘은 서울지속가능경영연구원이 선정한 2025년 지속가능경영 글로벌 ESG 10대 트렌드의 열 번째 주제인 ‘2025년 ESG 10대 트렌드(10) 공급망 관리의 확대’에 대하여, 1.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리가 공급망으로 확대, 2. 공급망 관리의 다양한 규제와 양상의 두 파트로 나누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동영상으로 볼 수 있는 유튜브 영상도 칼럼 내에 공유합니다. 영문은 한글자료 아래에 있습니다(English is after Korean). 1.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리가 공급망으로 확대 2025년, ESG 경영을 실천하는 현장의 핵심 화두는 ‘공급망 관리’로 귀결될 것이다. 이는 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지침(CSDDD)을 필두로 한 글로벌 규제 강화, 투자자와 소비자의 높아진 기대 수준, 그리고 기후 변화와 같은 실존적 위협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과거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영역으로 여겨졌던…

  • 2025년 ESG 10대 트렌드(9) 정책 리더십의 혼란

    오늘은 서울지속가능경영연구원이 선정한 2025년 지속가능경영 글로벌 ESG 10대 트렌드의 아홉 번째 주제인 ‘2025년 ESG 10대 트렌드(9) 정책 리더십의 혼란’에 대하여, 1. 기후 정책의 불확실성, 2. 부문 간 파트너십의 중요성의 2 파트로 나누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동영상으로 볼 수 있는 유튜브 영상도 칼럼 내에 공유합니다. 영문은 한글자료 아래에 있습니다(English is after Korean). 1. 기후 정책의 불확실성 EU의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지침(CSRD)은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기업이 겪고 있는 중복적이거나 과도한 규제를 완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지속가능한 그린딜을 달성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정하고 있다. 2025년 2월 EU 위원회는 ‘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CSRD) 및 분류체계(EU Taxonomy)’, ‘기업지속가능성실사지침(CSDDD)’,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EU 투자 프로그램(European investment programmes)’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한 간소화를 추진하는 첫 번째…

  • 2025년 ESG 10대 트렌드(8) AI 기술의 지속가능성 통합

    오늘은 서울지속가능경영연구원이 선정한 2025년 지속가능경영 글로벌 ESG 10대 트렌드의 여덟 번째 주제인 ‘2025년 ESG 10대 트렌드(8) AI 기술의 지속가능성 통합’에 대하여, 1. AI 기술의 혁신과 안정적인 품질 확보, 2. AI 기술의 지속가능성 통합 및 에너지 사용 문제의 2 파트로 나누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동영상으로 볼 수 있는 유튜브 영상도 칼럼 내에 공유합니다. 영문은 한글자료 아래에 있습니다(English is after Korean). 1. AI 기술의 혁신과 안정적인 품질 확보 AI 기술은 현대 비즈니스의 지속가능성 노력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2025년은 그 진화의 변동이 가장 큰 해가 될 것이다. AI 기반 탄소 추적 도구는 점점 더 쉽게 접근 가능해지며, 조직이 배출량 감소를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하며 그린워싱의 위험을…

  • 2025년 ESG 10대 트렌드(7) 생물다양성과 자연자본의 중요성 증대

    오늘은 서울지속가능경영연구원이 선정한 2025년 지속가능경영 글로벌 ESG 10대 트렌드의 일곱 번째 주제인 ‘2025년 ESG 10대 트렌드(7) 생물다양성과 자연자본의 중요성 증대’에 대하여, ‘순환경제 모델의 증가’에 대하여, 1. 지속가능성과 자연자본의 통합적 접근 필요성 증대, 2. 자연 기반 솔루션(NBS, Nature-based Solutions) 등장, 3. 시급한 지속가능성 과제, 물 부족의 3 파트로 나누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동영상으로 볼 수 있는 유튜브 영상도 칼럼 내에 공유합니다. 영문은 한글자료 아래에 있습니다(English is after Korean). 1. 지속가능성과 자연자본의 통합적 접근 필요성 증대 2025년은 기후 변화와 생태계 문제를 분절된 영역이 아닌 상호보완적 요소로 바라보는 시각이 전 세계적으로 더욱 확산되는 해가 될 것이다. 1992년 리우 지구정상회의에서 기후 변화, 생물다양성, 사막화에 관한…

CEO를 위한 지속가능경영전략 멘토링 Program

경영진 멘토링은 지속가능경영전략의 추진에 있어서 전사 통합적 관점과 논리 모델의 체계를 더 용이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문의사항은 여기(→ Contact us)에 남겨 주세요.

  1. 최중석(2024), “지속가능 경영전략(Sustainable Strategic Management”, 도서출판 두남.; Elkington, J.(1994), “Towards the Sustainable Corporation: Win-Win-Win Business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36(2), 90-100.; UN(2024),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sdgs.un.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