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we work

SSMR 논리모델 프레임워크

전략경영추진의 3단계 ASR 논리모델』

전략경영추진의 ASR 논리모델은 분석(A)→전략(S)→결과(R)의 논리에 따라 조직이 경영환경을 분석하고 전략을 공식화하여 실행함으로써 목표를 달성해가는 비즈니스 환류모형입니다.

지속가능경영 『CPGP 프로세스 통합 모형

CPGP 모형은 현재 조직의 지속가능성 조건(C) 진단에서부터 과정(P)과 목표(G) 달성을 돕고 궁극적으로 조직이 목적(P)을 이루도록 안내하는 프로세스의 통합 나침반입니다.

전략적의사결정 『SDM 프레임워크』

민츠버그의 전략적 의사결정 모형에 지속가능성을 결합한 발전모형으로 가장 적절한 과정과 방법으로 지속가능성 전략 이행의 이니셔티브를 선택하도록 돕는 의사결정 모형입니다.

서지연(SSMR)의 지속가능성 5가지 통찰력

서지연(SSMR)의 통찰력은 지속가능성 전략의 비재무적인 과정과 성과가 재무에 미치는 단기 및 중장기 영향을 고려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이중 중대성의 균형을 고려하여 선택한 전략 주제는 경영자의 전략 유형 선택의 경향에 따라 적합한 시나리오 스텝을 결정하고 지속가능한 경쟁과 협력 방안을 구축하고 최종적으로 지속가능성 전략의 속성과 변화관리의 긴장관계를 대응하도록 지원합니다.

  • 지속가능 전략의 딜레마(Dilemma of Sustainability)
  • 이중 중대성(Double materiality)
  • 시나리오 적합성(Scenario suitability)
  • 전략 유형 선택의 경향(Managerial tendency)
  • 지속가능 경쟁과 협력(Competitive & Network)

이중 중대성+4 Insights from SSMR


이중 중대성은 사회 및 환경의 영향, 비즈니스와 재무, 민감도, 지속가능성의 기회와 위협, 강점과 약점, 외부 권고, 지침 및 표준 등의 주제 식별이 요구됩니다. 이중 중대성 이외의 4가지 통찰력에서 고려할 키워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러한 키워드들은 이중 중대성과 함께 분석되고 다른 통찰력과 연결 및 조정되면서 전략수립의 중요한 조건으로 작용합니다.

시나리오 적합성

시나리오 구축과 평가, 기회와 보상, 위험 관리, 절충 안

전략 유형의 선택

혁신형과 보수형, 외향적과 내향적, Miles와 Snow의 전략유형과 변용

경쟁과 협력

지속가능성과 경쟁우위의 혼합전략, 네트워킹, 전략적 제휴

지속가능성 딜레마

차별화 vs 협력, 이질성 vs 동질성, 자원헌신 vs 정당성, 표준 vs 실험

과정의 익스(IGS)와 결과의 에쎄(ESE)

ESE(목표)

지속가능경영 전략이 목표하는 성과는 재무적 관점의 ‘① 경제적인 수익’ 창출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관점의 ‘② 사회적인 가치’와 ‘③ 환경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지속가능한 성과를 포함합니다.

 

IGS(과정)

이러한 목표 달성은 조직이 제품 또는 서비스의 ‘➊ 시장 혁신’에 참여하고 ‘➋ 좋은 지배구조’를 갖추며 ‘➌ 이해관계자 참여’의 과정도 목표만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합니다1.

  1. Gbededo, M. A., Liyanage, K., and Garza-Reyes, J. A.(2018), “Towards a Life Cycle Sustainability Analysis: A systematic review of approaches to sustainable manufacturing”,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84, 1002-1015.; Gupta, K., Crilly, D., and Greckhamer, T.(2020), “Stakeholder engagement strategies, national institutions, and firm performance: A configurational perspectiv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41, 1869–1900.; 최중석(2023), “사회적경제학(Social Economics)”, 좋은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