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서지연(SSMR)의 지속가능경영 전략 교과 핵심

지속가능경영 교육과목 편성의 준거

 

Spencer와 Spencer의 탁월한 성과 기반(SP: Superior Performance) 교육과정 개발 모형은 직무역량평가(JCA: Job Competence Assessment ) 이론을 기반으로 구성원의 성취도와 행동, 도움주기와 대인서비스, 영향력, 조직인식, 관계구축, 지도력, 인지력, 개인 유효성 범주에서 기대되는 성과 창출의 요구 역량을 추출하고 KSA(Knowledge, Skill, Attitude)의 영역으로 규명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Brock과 Steiner의 교육과정 편성 7가지 기준(SETEC)은 사회적 사명과 기회인식, 지속가능 혁신과 BM, 자원할당, 지속가능 성과와 영향의 확장성을 강조하고 사회문제 해결과 사회혁신의 태도, 사회적 가치 창출 과정과 성과 관리의 균형있는 교과목 편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서지연의 지속가능경영 교과 편성의 준거는 이처럼 Spencer와 Spencer의 탁월한 성과 기반 SP 모형과 Brock과 Steiner의 교육과정 편성 7가지 기준(SETEC)을 기반으로 마련되었습니다 1.

서지연(SSMR)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서비스

지속가능경영 교육과정 개발의 공학적 접근

서지연(SSMR)의 지속가능경영 교육과정 개발 HRD 모형은 지식과 기술 측면의 ‘SSMR의 11가지 준거 내용’과 교육 요구분석 → 역량도출 → 교수설계 → 교육운영과 평가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요구 분석

학습자 기본 프로필과 조직의 기대성과를 파악하고 학습자 및 사회적 필요 분석

역량 도출

SSMR 준거와 요구분석을 토대로 개발할 기술과 지식 역량, 태도 역량을 도출

교수 설계

교육 목적과 목표, SSMR 준거 및 요구 역량에 교육과목 편성, 교수법, 운영 계획

운영 평가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 방법 중 1, 2 단계 평가 기본 적용, 3, 4단계 평가 고려

2025년 서지연(SSMR) 교육과정 및 교육과목 도입 제안

ESG 및 SDGs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과목

서지연(SSMR)은 기업의 ESG 및 기관의 SDGs 실무자를 위한 교육과목을 개발하고 제공합니다. 이는 각 기업 및 기관, 광역시도 및 기초지자체에서 필요한 교육내용을 선택하고 도입할 수 있도록 마련한 교과목 DB입니다.

  • ESG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과목(기업)
  • Ⅰ. 기본 & 필수 4과목
  • Ⅱ. 전문 & 실무 4과목
  • Ⅲ. 향상 & 대응 4과목
  • SDGs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과목(지방자치단체)
  • Ⅰ. 기본 & 필수 4과목
  • Ⅱ. 전문 & 실무 5과목
  • Ⅲ. 향상 & 대응 5과목
  • ESG·SDGs 통합 로컬 거버넌스 교육과목
  • Ⅰ. 기본 & 필수 4과목
  • Ⅱ. 전문 & 실무 4과목
  • Ⅲ. 향상 & 대응 5과목
lecture_choi_01

지속가능경영 ESG 전략 컨설턴트 양성과정

서지연(SSMR)은 지속가능경영 전략의 본질과 통찰력, 실무와 실행력을 갖춘 컨설턴트 양성과정을 운영합니다.

  • SSMR SSC-S(Sytems, 이해) 단계 컨설턴트 코스
  • (1) SSM(Strategy for Sustainability Management, 지속가능경영전략) 배경 및 통합모델
  • (2) SSM(지속가능경영전략) 분석과 수립
  • (3) SSM(지속가능경영전략) 실행과 평가
  • SSMR SSC-P(Practice, 실무) 단계 컨설턴트 코스
  • (1) SSM(지속가능경영전략) 주제 식별 및 평가+사회(S) 이슈 실무
  • (2) SSM(지속가능경영전략) 수립 및 이행 관리+환경(E) 이슈 실무
  • (3) SSM(지속가능경영전략) 이행 평가 및 보고+글로벌 이슈 실무
  • SSMR SSC-L(Lead, 지도) 단계 컨설턴트 코스
  • (1) 논리적 사고, 문제해결능력, 커뮤니케이션 역량
  • (2) 통계 분석 툴 사용 실무
  • (3) 지속가능경영 전략 체계 수립 제안서 작성
  • (4) 지속가능경영 전략 이행 보고서 작성
  1. Brock, D. D. and S. D. Steiner(2008), “Soc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it Achieving the Desired Aims?”, USASBE 2008 Proceedings, 1133-1152.: 최중석·성상현(2016), :사회적기업가 역량 모델링 및 교육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경영전략 AFI Framework1)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국협동조합연구, 34(2), 83-116. ↩︎